본문 바로가기

짧은 사색과 향기방

직장인 고민, 저축? 주식? 펀드?

요즘 펀드나 주식에 투자하면
돈번다는데..귀가 솔깃하기도


하지만 원금손실에 대한 불안
저축, 주식, 펀드... 고민되네!
 

오늘(30일)이 저축의 날이네요. 어릴 적 국민학교 다닐 때는 학교에서 저금하는 날이 지정돼 있어서 꼬박꼬박 저축하고 그랬는데^^ 이제 커서 직장 다니며 월급을 받는데도 저축하기가 힘이 드네요.


그런데 요즘, 은행 갈 일이 있어 들르면 꼭 하는 말이 있더군요.


지금 펀드나 주식에 투자하면 은행보다 수익률이 몇 배는 높다는 데...투자해도 괜찮을까?

“펀드 가입하셨어요? 요즘 중국 펀드가 상당히 인기입니다. 수익률도 20%도 넘고... 한 번 펀드에 투자해 보시지 않겠습니까?”

“펀드는 위험하지 않나요? 잘못하면 원금까지도 손실 보고?”

“안 그래요. 요즘 수익률이 얼마나 높은데요. 그리고 정 불안하시면 두 개로 분산해 투자하면 되고, 또 장기펀드에 가입하면 안정적이라 괜찮습니다.”


솔직히 저는 재테크에 영~ 지식이 없습니다. 그래서인지 펀드니, 주식이니 말로만 들어봤지 그런 쪽으로 한 번도 생각해 본 적도 없고, 실제로 해 본 적도 없습니다. 그리고 뭐, 재테크 할만한 여력도 안 되고요. 하지만 이런 말 들을 때면, ‘나도 한 번 해 볼까?’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. 은행에 넣어봤자 5-6% 밖에 안 되는 데, 펀드에 넣으면 20%도 넘는 이자가 붙는다고 하니 솔직히 혹~ 하는 마음이 생기기 때문입니다.


그리고 제 주위를 보더라도 나름대로 주식이나 펀드를 해서 꽤 재산을 불린 사람도 있습니다. 우리 사무실에 정수기 물을 갖다 주시는 분은 2년 전에 저축했던 돈 3천만원을 펀드에 넣었는데, 지금은 2배 이상 수익률이 났다고 합니다. 그러면서 저에게도 펀드 가입을 권유하더라고요. 당장 필요한 돈이 아니면 장기상품에 넣으면 위험률도 적고, 은행보다 훨씬 수익률도 좋다면서요.


또 아내 말에 따르면 주위에 주식 투자를 하는 주부들이 있는 데, 2~3백만원 가지고 주식투자 해서 한 달에 10만원 정도를 수익으로 올린다고 하더군요. 재미가 쏠쏠하다면서 아내에게도 권유했다고 합니다. 듣고 보니, 욕심 안 부리고 잘만하면 공짜로 돈 벌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.

 

그래서 지금 단 10만원이라도 펀드에 가입할까, 그냥 소액 가지고 주식 투자를 한 번 해볼까 생각중입니다. 에구, 그런데 돈이 많은 것도 아니고 ‘원금 손해 보면 어떡하지? 요즘 펀드 위험성에 대한 기사도 많이 나오던데. 그리고 10만원씩 해서 뭐 얼마나 더 벌겠어? 그냥 안전하게 은행에 넣을까?’ 이런 식으로 자꾸만 생각이 드는지라 선뜻 결정을 하고 있지 못합니다.


낮은 이자 은행저축, 이참에 펀드나 주식투자 한 번 해봐? 여러분은 이런 고민 안 하시나요?

이런 고민은 저 뿐만 아니라 우리 직원들도 고민하는 공통적인 문제입니다. 다들 은행 갈 때마다 펀드 가입 권유를 들으면서, 높은 수익률에 대해 듣다보니 ‘기왕이면 펀드에 넣을까?’하는 생각이 드는 탓입니다. 엊그제 여직원 두 분도 점심시간에 펀드 설명 들으러 간다고 하면서 나갔는데, 들어보니 들고 싶은 마음이 생기더랍니다. 그런데, 역시나 ‘원금 손실’에 대한 부담 때문에 결정을 못 하는 것 같더라고요.


솔직히 월급 받아서 저축하는 것만으로는 월급쟁이가 물가 상승이나 올라가는 집값을 따라가기가 힘듭니다. 그래서 재테크를 잘 해야 한다는 데, 이런 고민을 말하면 은행이나 펀드, 주식으로 재미를 본 사람들 말을 들으면 당장이라도 펀드나 주식에 투자하라고 말하는데...


그 분들 말 들으면 지금 저는 재테크에 ‘재’ 자도 모르는 바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고, 또 다르게 생각하면 펀드니 주식이니 하는 게 결국에는 잘해야 본전치기이고 자칫하면 원금까지 손해 볼 것 같고... 저축의 날이라고 하니까 괜히 새삼 또 이런 문제가 고민이 많이 되네요.

얼마 되지는 않지만 그냥 욕심 안 부리고 안전한 저축이 나을까요, 아니면 저축해봐야 얼마되지도 않으니 수익률 높다는 펀드나 주식에 투자해서 재테크 하는 게 나을까요? 여러분은 이런 고민 안 해 보셨나요?


Daum 블로거뉴스
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.
추천하기